종로가볼만한곳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시대 토지신과 곡물신에게 제례를 올렸던 곳 종로 사직단 사직동. 우리나라의 각 주요 도시에서 가장 많은 지명을 가진 동네이다. 사직동의 유래는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제를 올리던 사직단에서 시작된다. 사직단은 종묘와 더불어 조선시대 국가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곳이다. 종묘는 역대 왕들의 위패를 모시는 왕실의 사당인데, 역대 왕들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곳이다. 아울러 사직단은 토지신인 사(社)와 곡물신인 직(稷)에게 제사 지내는 곳이다. 종묘와 사직단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제례의 대상이었다. 유교사상을 근본으로 하고, 농경이 가장 중요한 산업 기반이었던 조선시대에는 왕실에 제사를 지내는 종묘와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사직을 잘 지키는 일이야말로 왕실의 위엄을 세우고 백성을 잘 다스리는데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사극에 종종 .. 더보기 국보 제2호 원각사지 십층석탑과 보물 제3호 대원각사비(탑골공원) 종로 2가 사거리에서 종로 3가 방면으로 향하다 보면 파출소 옆에 조성된 공원을 볼 수 있다. 노숙자들이 즐비하고 어르신들이 터 잡고 계신 광경 때문에 그냥 지나치기 십상인 이곳은 본래 사찰터였다. 기록에 따르면 고려 시대에만 하더라도 이 자리에는 흥복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이후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숭유억불 정책이 펼쳐졌음에도 불구하고, 불교에 관대하였고 각종 불교사와 얽혀 있으며 그와 관련된 설화도 많이 존재하는 세조는 흥복사를 더욱 넓혀 원각사라는 이름의 절로 중창하였다.(세조 10년, 1464년) 원각사의 중앙에는 대적광전이 있었으며 수십의 전각이 존재하였다고 전해진다. 경복궁과 종묘의 사이, 한양의 중심에 세워졌던 그 원각사는 연산군 10년(1604년)에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연산.. 더보기 조선 왕조의 넋이 서린 곳 종로 종묘(유네스코 세계유산) 근래 경주에 다녀올 적에 문득 스쳤던 유치한 생각. '경주 애들은 첨성대를 눈 감고도 다니겠지?' 서울에서 나고 자랐지만 서울의 상징과도 같은 곳들을 다녀온 기억이 그리 많지가 않다... 늘상 오며 가며 보는 것들이라 그런가? 종로 일대는 눈 감고도 다닐 정도지만 정작 종묘를 마지막으로 방문한 것이 언제였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그래서 모처럼 날 잡고 서울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종묘를 다녀왔다. 종묘 정문인 외대문 앞쪽에 덩그러니 자리 잡은 종묘 어정. 조선의 역대 왕들이 종묘에 왕래할 때 이 우물의 물을 마셨단다. 종묘의 정문인 외대문. 입장권은 성인 1,000원. 유네스코 유산치고는 무척 저렴하다. ㅋㅋ 2011년에 타지마할 입장료가 한화로 약 12,000원이었는데... 안타깝게도 현재 종묘의 꽃이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