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동여행

평화로운 정취를 느낄 수 있었던 안동 하회마을 안동을 떠올릴 때에 가장 대중적이자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곳은 하회마을이 아닐까 싶다.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가 지난 600여 년간 대대로 살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집성촌이며, 과거의 건축들이 옛 모습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하회'라는 마을은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르는데서 유래되었다. 마을의 중앙에는 수령이 600여 년은 된 삼신당 느티나무가 위치해 있으며, 그 나무를 중심으로 집들이 배치돼 있다. 이곳에서는 서민들의 놀이였던 '하회별신굿 탈놀이'와 선비들의 풍류놀이였던 '선유줄불놀이'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고, 우리네 전통문화와 고건축 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하회마을은 상당히 크고 넓은데,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초입부의 하회장터 옆에서 하회마을 종합안내소까지 오가는.. 더보기
민족의 얼을 훼손시키고자 애썼던 일제의 만행이 남아 있는 곳 안동 임청각과 법흥사지 칠층전탑 안동 당일치기 여행의 시작이었던 봉정사에 이어 임청각을 방문했다. 보물 제182호인 임청각은 조선시대 민간 가옥 중 가장 큰 규모의 양반가 주택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대한민국 구국운동의 성지와도 같은 곳으로,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다. 독립운동가였던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였던 임청각은 독립운동 명문가로, 이상룡 선생을 포함한 11명이(동생, 아들, 손자, 조카 등...) 독립운동 유공자로 건국훈장을 받았다. 민족의 얼이 서린 이곳은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공사가 한창이다. 이유는 과거 일제가 정기를 끊기 위해 임청각 마당을 가로지르는 중앙선 철로를 내놓았는데, 지형회복을 위한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앞서 얘기했듯 일제강점기 당시 중앙선 철로가 부설되면서 본래 99칸 건물이었던 이곳은 부속.. 더보기
호젓한 분위기의 암자이자, 신묘한 느낌의 정원 봉정사 영산암 천년고찰 봉정사는 비슷한 명성을 가진 여타의 사찰들에 비해 경내가 작고 아담한 편이며, 따라서 여러 전각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이런 이유로 큰 부담 없이 둘러보기에 수월한데, 한편으로는 여운이 남기 마련이다. 그런 아쉬움을 채워주는 곳이 있으니 바로 봉정사의 부속 암자인 영산암이다. 한국의 10대 정원이라는 영산암으로 오르는 길. 부속 암자라지만 거리가 멀다거나 산길을 올라야 하는 것은 아니고 위 사진에 보이는 계단만 오르면 바로 영산암이다. 대웅전에서 도보로 약 1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봉정사 영산암(동암)의 우화루. 영산암은 지조암(서암)과 더불어 봉정사의 부속 암자 중 하나로, 천등산 언저리의 봉정사를 중심으로 동, 서쪽에 두 부속 암자가 배치된 형태이다. 나한전, 염화실, 송암당, 삼성각, .. 더보기
마치 새 건물 같은 국내 최고의 목조 건축물 안동 봉정사 극락전 국보 제15호 안동 봉정사 극락전. 대웅전이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봉정사의 꽃과도 같은 건축물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라는 그 타이틀 덕분이다. 나무 특성상 물리적, 화학적, 자연적 요소로 인해 훼손되거나 오염될 우려가 큼에도 불구하고 천년의 세월 동안 그 고유의 자태를 간직한다는 것은 무척이나 주목할만한 일이다. 흔히 국내에서 오래된 목조 건축물을 언급할 때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을 들고는 하는데, 극락전과 무량수전은 정확한 창건 연대가 밝혀지지는 않았다. 다만 중수 기록등을 미루어 추측하건대 봉정사 극락전은 120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부석사 무량수전은 이보다 대략 13년가량 뒤늦을 것이라는 견해가 다수설이다. 이에 반해 수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