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 (1)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특별전시 중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이라는 전시를 관람하고 왔다. 전시 기간 : 2022.5.3 ~ 22. 8.28 (일요일) 관람 시간 : 월화목금일 - 10:00 ~ 18:00 / 수토 - 10:00
qlqlzhxh.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 이어
특별전 [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 ]
관람기 2탄이다.
벽에 그림 그려놓고 몇 자 안 되는 설명으로 대충 때운
아즈텍 사람들의 식생활 테마를 지나면,
정복과 전쟁, 공물과 공납을 주 테마로 다룬 전시가 시작된다.
사실 볼거리는 몇 개 없다.
보충 설명을 하자면
아즈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에는 구역마다 '칼푸이'라는 기관이 있는데,
기관장이 구역 주민으로부터 세금을 걷었다.
또 아즈텍의 상인들은 열대 지방의 깃털, 금, 보석, 재규어 가죽과 같은
귀한 물건을 구하기 위해 먼 지역으로 여행을 다니기도 했다.
비록 복제품이지만,
좌측의 독수리 전사상이
이번 전시에서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아즈텍의 유물 중 원체 유명한 점토 조각상이니까...
군사 계층 중에서도 가장 위엄 있는 계층은
독수리와 재규어 기사단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독수리나 재규어 의상을 입었다.
위의 조각상은 실물과 같은 크기로 만든 거라는데,
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대신전 옆
독수리 전사의 방 입구를 지키고 있던 한 쌍이다.
전사가 독수리 부리 모양의 투구를 쓰고 있는데,
독수리는 모든 희생물을 바치던 태양을 상징한다고 한다.
팔에도 독수리 날개가 달려있고
다리에도 독수리 발톱이 붙어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우측 톨텍 족의 전사 석상은
깃털 머리 장식과 귀덮개, 나비 모양의 가슴받이로
잘 차려입은 전사상이다.
앞서 얘기했듯이 진품이 아닌 복제품이긴 하나,
책에서나 보던 조각상을 실제로 보니
벅차오르는 감정이 들었다.
흑요석으로 만든 무기들이다.
아즈텍 전사들은 규석이나 흑요석 날을 박은 창이나,
나무 곤봉을 주로 사용하였다.
위 사진 가장 좌측에 보이는
부싯돌이나 흑요석으로 만든 단검은 인간 제물을 바칠 때에도 사용했다.
흑요석이라는 원석 자체가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겨서 그런지
조금 탐이 나는 유물이었다.
테노츠티틀란은 아스테카 제국의 지리적 정신적 중심지였다.
호수 위에 세워진 도시에 네 개의 인공 둑길이 있었다고 한다.
도시의 한가운데에는 대신전이 있었는데,
이 신전은 전쟁의 신과 비의 신에게 바쳐진 것이었다.
중심지에는 왕궁, 전사의 학교, 사당 및 구기 경기장이 있었다.
뱀 머리 모양 건축 장식과 독수리 머리 석조.
뱀과 독수리 둘 다 오늘날 멕시코 국기의
상징이다.
선인장에 앉은 독수리 석상이다.
보투리니 고문서의 모습.
꽤나 긴 그림책이다.
포로로 잡은 사람들의 귀를 베어 오는 그림과
아즈텍 전사들이 전쟁터로 향하는 그림이다.
고대 멕시코인들의 생활을 나타낸 벽화다.
멕시코 최고의 현대 벽화가인 리베라는 테노치티틀란 사람들의
생활을 그려냈는데,
여러 가지 옥수수를 팔고 있는 여자(좌측 하단)가 등장하는
이 그림은 분주한 시장 풍경을 그린 일부다.
화려한 도시라는 주제로 다음 테마가 시작됐다.
세 발 달린 그릇.
이전 포스팅에도 언급했지만,
이렇게 표면에 무늬가 새겨진 것들은 일상생활에서 쓰는 것이라기보다는
제식용인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귀여움 ㅋㅋ.
당시의 지배자들에 대한 계보도 간단히 소개돼있다.
아무래도 1대부터 3대 정도까지의 군주는 알아야지 않겠냐는 생각에
사진에 담아본다.
앞서 본
보투리니 고문서보다도 훨씬 길고 큰
보르지아 고문서이다.
이번 전시에서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가 아닐까 싶다.
스페인의 아즈텍 침략 및 학살 당시,
아즈텍의 고문서와 서적 등을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기에
과거 당시의 고문서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우리 역사는 아니지만
참 가슴 아픈 일이다.
알아보기 힘들거나 특별한 의미가 있는 그림은
따로 설명을 해놨다.
남편의 옷에서 뱀이 기어 나오는 그림이 참신했다.
내연녀와 바람을 피운 것을 의미한다...
얼핏 보기엔 알아보기 힘들지만
설명을 곁들어서 살펴보면,
해석하는 맛이 있다.
테노츠티틀란의 조감도.
아즈텍 인들은 자신들이 다섯 번째 태양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어느 날 갑자기 세상이 비참한 종말을 맞는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들은 그 종말을 연기시키기 위해
인간 제물을 바쳤는데,
신들에게 인간의 피를 바치면 태양이 계속해서
활동할 것이라고 믿었던 것이다.
테노츠티틀란 중심부에는 담을 두른 성역이 있었는데,
그 안의 거대한 피라미드 꼭대기에는 비의 신 틀라록과
전쟁의 신이자 아즈텍 부족 신인 우이트실로포치틀리를 모신
두 신전이 나란히 서있다.
위 사진에서 중앙의
두 신전 중
좌측이 비의 신 틀라록의 신전,
우측이 전쟁의 신 우이트실로포치틀리의 신전이다.
태양의 돌이 발견된 모습.
사실 아즈텍 전시의 가장 하이라이트를 꼽으라면 이 태양의 돌이겠지만,
이는 멕시코시티의
국립박물관에 소장돼있다.
바람의 신 에에카틀의 모습.
사실 희생 제의는
우리 문화에서 그리 자주 접하던 것은 아니다 보니
조금 낯설었다.
피와 심장을 담았던 그릇이란다...
과연 저 그릇에 얼마나 많은
피와 심장이 담겼었을지 생각하니
괜히 오싹했다. ㅋㅋ
추후 알아본 결과
아즈텍의 신관은 심장을 꺼내서 그릇에 담은 뒤,
시체는 신전의 계단 밑으로 내던졌다고 한다.
그러면 제물을 잡아 온 전사에게 허벅다리 같은 시체의 일부가
상으로 주어졌다는데...
아즈텍 인들은 몇몇 종교의식에서
인육을 먹기도 했단다.
(이를테면 잡아 온 포로의 다리나 팔을 먹었다.)
금장식 귀걸이라는데...
문명의 발달은 상대적인 것이라지만,
아즈텍 사람들의 손재주가 그리 좋지는 않았나 보다.
최근 부여국립박물관에서
국보 제287호 백제 금동대향로를 봐서 그런가?
어지간한 금속 공예 유물은 봐도 성에 안찬다.
금동대향로가 6~7세기에 만들어졌는데,
위의 귀걸이는 대략 1300년 경에 만들어진 것이니...
다시금
우리 선조들이 꽃피운 문화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가늠이 됐다.
팸플릿과 홍보 페이지의 메인을 장식하였으며,
감히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라고 말할 수 있는 조각상이다.
죽은 사람의 신인 믹틀란테쿠틀리이다.
자연사한 사람은 믹틀란테쿠를리가 지배하는 춥고 어두운 지옥인
믹틀란으로 갔다고 믿었다.
죽음을 상징하는 신이라기에는
다소 귀엽게 느껴지기도 한다.
아즈텍 사람들의 희생 제의는 여전히 오싹하지만...
해골 가면이다.
사람의 이 해골은
제물로 바쳐진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한다.
조가비와 황철광으로 눈을 만들었으며,
코와 입에는
생전 이 두개골의 주인을 죽일 때
찔러 넣은 칼이 박혀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안내했지만,
전시의 초입에 두개골 두 점이 전시돼있으니 참고하라는 문구가 있었는데
바로 이것들이다.
해골 장식이 더해진 병.
마지막으로
아즈텍의 멸망을 아주 간략히 소개하며 전시의 끝을 알린다.
코르테스와 목테수마 왕이 처음 만난 장면을 담은
그림이 전해지는데, (이번 전시에는 없음)
그 그림만 보아도 강철 갑옷을 두른 에스파냐 정복자들과
천 옷을 두르고 있는 아즈텍인들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어쨌든 스페인 정복자들은
재물, 황금이나 옥수수 등을 노리고
밑도 끝도 없는 대학살을 펼쳤다.
저항하거나 공납을 바치지 않으면
갖은 방식으로 고문하다가 그냥 죽여버렸다고 한다.
재물을 탐한 목적도 있겠지만,
애당초 인간 본성의 악함이 끌어 올라
살육의 재미를 추구한 것이 아닐까 싶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특별전,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을 전부 살펴봤다.
개인적으로 평을 남기자면
가격 (5,000원) 값 하는 전시였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정도.
우선 내가 사진에 담아 포스팅한 것들이
거의 90%다.
인상적으로 둘러볼만한 유물은 거의 없고,
대개 복제품이다.
무엇보다도 불만스러웠던 점은
전시관 입구에서 시청각 영상을 틀어놓는데,
그 소리가 너무 커서
전시 내내 몹시 거슬렸다.
아직도 그 소리가 귀에 맴도는 것 같을 지경이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선 접하기 어렵고 비교적 생소한
아즈텍 문명전을 볼 수 있는 기회인 만큼,
한 번 가볼만하다고 말하고 싶다.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두 반가사유상에서 고요한 평화를 느끼며 / 사유의 방 / 수덕사 괘불 / 경천사지 십층석탑 (0) | 2022.07.07 |
---|---|
국립중앙박물관 화려한 금빛의 향연 신라실 둘러보기 그리고 진흥왕 순수비 (0) | 2022.07.07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 (1) (0) | 2022.07.06 |
이거 조금, 저거 조금, 갖은 음식 맛보기에 좋은 강릉 중앙시장 (0) | 2022.07.04 |
추억만들기 좋은 힐링 명소 대관령양떼목장 (0) | 2022.07.02 |